본문 바로가기

밀리터리8

현대로템 폴란드 K2PL 공동생산 공식 제안 10조 전차 사업 수주전 정리 - 폴란드 전차 사업의 현재 상황 현재 폴란드 내 사업 추진 기업이 현대로템측에 합작 제의를 해서 현대로템이 사업제안서를 제출한 상황이다. 사업 수주까지 갈 길이 멀지만 폴란드가 독일 프랑스 유로공용전차사업에서 완전히 배제된 지금 상황에는 현대로템의 사업 획득 가능성이 약간 생겼다고 볼수있다. 그러나 우리가 아공군사업에서 미국 기종과 유럽 기종을 경쟁시키듯 폴란드에서도 미국 에이브럼스 개량형을 원하면서 가격 협상용으로 흑표를 이용한다는 폴란드발과 제인스 기사가 있었다. 그 내용들을 정리해 보았다. 요즘 뉴스는 챌린저 mk2를 제시했던 영국 사업자가 챌린저 전차를 포기하고 미국의 에이브럼스 개량형을 제시하고 있다고 한다. 이에 폴란드는 미국정부에서 오케이하고 싸게 주면 에이브럼스를 쓰겠다는 입장이고 기술 .. 2020. 9. 16.
120mm 자주박격포 양산 결정 4.2인치 박격포 대체 2025년까지 양산되는 신형 120mm 자주 박격포 전량을 기계화 대대에 배치하고 기계화 보병대대가 사용하던 4.2인치는 전량 보병대대로 갈듯하다. 보병여단에 약 800여대 목표로 K105A1이 배치되고 있으니 대대 지원용 지원화기들이 이제 모두 자주화될 것 같다. ​ 보병대대에서 사용하던 4.2인치는 전량 폐기하거나 상태 좋은 것만 예비전력으로 남길 여지가 있다. 포탄이 250만 발 이상 남아 있다고 하니 아무리 2차대전 때 쓰던 거라도 급하면 우리 예비군들이 쏴댈 수 있다. 현용 4.2인치 박격포는 40여 년 장기간 운용되어 장비의 노후화되었을 뿐 아니라 기계화 부대 작전 수행에 사거리 부족 등으로 제한이 있어 성능을 향상시킨 대체전력의 확보가 필요하다. 미 육군이 1991년 4.2인치 대신 120㎜.. 2020. 9. 10.
미래 한국 스텔스 전투기 정리, KF-X 사업 - KFX 사업의 시작 공군의 원대한 국산 전투기 개발 계획은 90년대부터 시작되었다. 그 당시 삼성항공이 KF-16을 조립생산해서 자신감이 붙었는지 공군과의 콜라보로 미래 먹거리를 창조했다는 썰이있다. 여하튼 KT-1과 KF-16, T-50, F/A-50까지 대표기업인 삼성항공과 KAI로 이어지는 기간 동안 전투기에 대한 기술력을 쌓았다. ​KF-X 사업은 2002년 소요결정을 시작으로 2008년까지 선행연구를 했다. 2008년부터 2012년까지 탐색개발, 2012년부터 2015년까지 체계 개발과 각종 계약을 했다. 선행연구 과정에서 터키는 오바를 해서 커트했고 인도네시아의 20% 지분 참여와 KAI 20%, 정부 60% 지분비율로 정리되며 2010년 인도네시아와 계약하였다. 우여곡절이 매우매우 많았지.. 2020. 8. 25.
웰덱과 웰독, Well Deck Well Dock 쪽지와 이메일로 몇 가지 문의하는 학생 몇 명이 있었다. 글을 읽고 차마 '니가 구글링해라' 라고 말할수 없었다. 어린 학생들이 내 글을 읽을 줄은 몰랐다. 여튼 말조심해야겠다. 또 한가지 우리나라나 대한민국을 안 쓰고 왜 한국이라고 칭하냐는 메일도 있었다. 주관적인 내 의견을 글로 쓰지만 정보 자체에 대한 내용은 객관적으로 바라보는 것처럼 쓰고 싶었다. 자랑스러운 우리나라지만 너무 국뽕스러움은 걍 닭살이다. 이렇게 답메일 드렸다. 이곳은 복잡한 내 머릿속을 검색과 서핑으로 풀어 정리하는 내 공간이지만 댓글이나 메일로 소통이 가능하니 아무 때나 연락 바란다. 인생의 청춘은 생각보다 짧다. 너무 심각하게 생각하지 말고 어느 정도는 즐기며 살자. 웰데크, 웰도크 웰덱은 상륙함 전후방의 출입구를 통해 병력과 .. 2020. 8. 24.
미래 한국 차기 구축함 정리, KDDX 현대중공업 KDDX 출항 시작 방위사업청은 올해 6월 한국형 차기 구축함 (KDDX) 경쟁 입찰을 시작했다. 7월 20일까지 입찰신청한 대우조선과 현대중공업 중에 현중이 0.5점 차이로 수주했다는 뉴스다. 또한 통합 마스트와 이지스, 소나체계는 LIG와 한화가 신청했었고 소나체계를 0.5점 차이로 LIG가 수주했다는 뉴스다. ​ 조선업에서 특히 방산업에서 대우와 현중은 용호상박이다. 대형상륙함과 소형함정은 한진중공업이, 대형함정과 잠수함들은 대우와 현중이 번갈아가며 건조했었다. 지금까지 군함 건조는 해군이 ROC와 무장을 정하면 조선 업체가 설계해 주고 가격만 입찰하는 방식었다. ​ 해군이 개념부터 기초연구, 설계, 감리감독까지 모든 과정에 관여하는 구조였다. 그런데 해군은 이번 입찰부터 목표요구성능만 고지하고 기.. 2020. 8. 23.
미래 한국 핵추진 잠수함 정리, 프랑스 바라쿠다급 한국의 핵잠 건조 추진? 문재인 정부의 대선공약이기도 했던 핵추진 잠수함 건조 추진이 다시 거론되고 있다. 몇 년 전 트럼프 대통령의 동의를 얻었다는 기사들이 나왔지만 군 관계자들과 밀리터리 매니아들은 반신반의했었다. 그러나 그동안 기초연구용역이 비밀리에 진행되었고 결과가 상부로 올라갔다는 썰이다. KFX AESA레이더 시제 완성에 이어 사거리 800km 현무4개발 완료, 경항모급 상륙함 건조도 뜨악할 노릇인데 원자력 추진 잠수함 개발까지 한다니...가슴이 웅장해진다. 밀매로서 한국이 보유하거나 개발했으면 하는 워너비 무기 탑10을 열거해보자면 다음과 같다. " 핵무기, 항공모함, 핵추진 잠수함, 스텔스기, 장거리 탄도미사일, 극초음속 미사일, 군사 통신위성 체계, 전자전기, 무인기, 협동교전체계(CEC.. 2020. 8. 19.
미래 한국 경항모 정리, 아메리카급 강습상륙함 한국해군이 2015년부터 발주한 LPX-2의 기초연구용역들 중에 선택하고 결정하여 3만톤급 경항모형 강습상륙함으로 사업 추진된다고 중기국방계획에서 밝혔다. ​ 이런저런 썰들이야 많았지만 주변 국제정세와 한국의 미래와 역할, 경제력 증가를 예측해서 정권차원에서 결정된 것 같다. 깊이 알아보고 공부할 분들은 이곳저곳 검색해봐도 흥미로운 주제일 것이다. ​ 한국해군이 사업 발표한 이번 내용은 강습상륙함 형태의 경항모겸용 경하 3만톤급 함정이다. 한국형 경항모에 대해 검색하다 한국해군이 좋아하는 미군의 강습상륙함에 대한 정리를 간단히 해보았다. ​ ​ 1. 상륙함의 분류 ​ - 강습 상륙함 (수직이착륙기, 헬기모함) LHA : Landing Helicopter Assault LHD : Landing Helico.. 2020. 8. 18.
전투기 KFX AESA 레이더 TR모듈 개수 모음 에이사 레이더에 대해 검색하다가 발견한 내용들을 정리해 본다. KFX AESA 레이더 TR모듈 개수가 1200개까지 늘어날 수 있다는 기사를 보고 지금까지 공개된 AESA관련정보들과 기존 레이더들을 정리해 보았다.하드웨어가 만들어져야 소프트웨어로 최적화되는 기본 프로세스, 그중 하드웨어를 우선 살펴본다. 단 모듈 개수는 추정치인 것도 있다. 세계 레이더 개발업체는 거대군수업체, 국가주도의 몇몇 국가와 연결되어 있다. 대충 덩어리로 정리해보면, 인수합병으로 덩치가 커진 미국의 초거대 종합업체는 록히드마틴, 보잉 2top. 미사일-레이더 강점의 노스롭그루먼, 레이시온 정도로 볼 수 있다. 유럽은 합작 형태가 많고 필요에 따라 잘 뭉친다. 그래서 산으로 가는 경우가 많고 부품과 정비비가 비싸다. 합작 형태는 .. 2020. 8. 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