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해군이 2015년부터 발주한 LPX-2의 기초연구용역들 중에 선택하고 결정하여 3만톤급 경항모형 강습상륙함으로 사업 추진된다고 중기국방계획에서 밝혔다.
이런저런 썰들이야 많았지만 주변 국제정세와 한국의 미래와 역할, 경제력 증가를 예측해서 정권차원에서 결정된 것 같다. 깊이 알아보고 공부할 분들은 이곳저곳 검색해봐도 흥미로운 주제일 것이다.
한국해군이 사업 발표한 이번 내용은 강습상륙함 형태의 경항모겸용 경하 3만톤급 함정이다. 한국형 경항모에 대해 검색하다 한국해군이 좋아하는 미군의 강습상륙함에 대한 정리를 간단히 해보았다.
1. 상륙함의 분류
- 강습 상륙함 (수직이착륙기, 헬기모함)
LHA : Landing Helicopter Assault
LHD : Landing Helicopter Dock
LPH : Landing Platform Helicopter
- 상륙 선거함 (항공기 격납고의 유무)
LPD : Landing Platform Dock
LSD : Landing Ship Dock
LST : Landing Ship Tank
2. 상륙함의 웰독 (Well Dock, 침수시설)
웰덱이 웰독을 포함하는 포괄적인 개념의 용어, 웰덱과 웰독을 혼용해서 사용, 요갑판은 일본식 용어
- 웰덱 (Well Deck, 요갑판) - 웰독과 출입구, 물을 채우고 뺄수있는 시설이 있는 갑판전체
- 웰독 (Well Dock, 침수시설) - 물을 채우거나 뺄수있는 구조의 시설
- 웰독 유
공기부양정, 상륙정, 상륙장갑차등 출입가능
- 웰독 무 (경항공모함형)
항공기, 헬기를 이용한 강습상륙, 웰독이 없는 공간에 항공기 유류, 무장무기등 추가탑재
3. 강습상륙함의 대표 함선
*미국
- 타라와급 LHA-1~5 (2015년 모두 퇴역) 해리어, 헬기항모, 웰독 유 만재 약 4.2만톤급
- 와스프급(Wasp) LHD-1~8(1989년부터 취역, 모두 현역), 웰독 유, 만재 약 4.2만톤급
- 아메리카급 LHA-6~7(2014년부터 취역, 2척 현역), 총 11척 계획, 웰독 무, 만재 약 4.5만톤급
4. 현재 미군 운용 형태
와스프급 8번함을 가스터빈으로 건조하고 적은 유류소비와 발전된 기술로 아메리카급을 2001년 설계, 2008년부터 건조하기 시작했다. 당시 미군의 신속기동군 개편에 따라 아메리카급은 항공기 전력강화에 초점을 두고 웰독없이 건조 되었다는 의견이 많다. 웰독이 있으면 설계와 형태상 20노트이상 속도를 내기가 힘들다.
아메리카급은 웰독을 없애고 작전 목적에 따라 경함모급으로 F-35B를 24기정도, 강습상륙으로 다른 헬기들과 오스프리등 최대 30여대 탑재해 항모전단의 보조 항공전력 역할이나 투입이 애매한 저강도 분쟁지역위주로 투입되어 왔다. 그러나 아메리카급 3번함부터 웰독을 다시 부활해 병력과 장비수송에 초점을 맞추어 건조 중이다.
미군 상륙함의 디자인적 특징은 전면부 직사각 갑판이나, 돌출 엘리베이터, 운하를 건너기위한 약 30m의 좁은 폭이다.
운영병력은 1.000여명, 각함마다 다르지만 해병대 병력은 1.600명에서 2.000명 정도 수송이 가능하다.
5. 한국해군의 선택
역시 해병대는 또 소외되는가?
한국해군의 경함모급 선택은 웰독없는 아메리카급으로 간다는 썰들이 많다. 한국군 편재 특성과 해공군의 짝자꿍, 해병대의 오랜 소외와 방치 수준의 경비병 용도 이용으로 미루어 짐작이 간다. 운하를 넘어 운용할 일이 없어 갑판 폭이 60m 이상이라는 썰도 있어 그나마 다행이다.
어찌 되었던 LPX-2사업은 무지막지하게 노후화된 해병대 상륙함의 교체 사업이다. 해병대는 LST용을 30여 년째 쓰고 있다. 경악스러운 단층데크의 독도함과 마라도함의 취역으로는 8척의 구닥다리 구형상륙함을 대체할 수 없다.
북한을 상정으로 또는 미래에 있을지 모를 중국과 일본에 대한 상륙작전에 있어 대량 병력과 전력 수송능력이 현재 해병대의 규모에 비해 너무 적다. 지금의 전력으론 북한용으로도 파괴력이 미흡하다.
LPX-2와 한국형 경항모는 따로 사업 추진되었으면 한다. 따로 간다면 LPX-2는 독도급 만재 2만톤 2층데크 상륙함 1척 추가로 하고 LST-3사업의 4척 추가 사업추진도 꼭 필요하다고 본다. 이는 자료수집 중이고 정리한 글을 올릴 예정이다.
와스프급으로 추진하여 평시 F-35B 16기 탑재 경항모작전, 전시 강습상륙함으로 대규모 해병대 상륙작전 겸용으로 쓰이길 바란다. 웰독의 유무로 상륙함의 작전능력은 매우 달라질 것이다.
다음은 갑판형태 중 스키점프대형과 캐토바형, 상륙함형에 대해 정리해 본다.
소유즈의 네이버 블로그
'밀리터리' 카테고리의 다른 글
미래 한국 스텔스 전투기 정리, KF-X 사업 (0) | 2020.08.25 |
---|---|
웰덱과 웰독, Well Deck Well Dock (1) | 2020.08.24 |
미래 한국 차기 구축함 정리, KDDX 현대중공업 (0) | 2020.08.23 |
미래 한국 핵추진 잠수함 정리, 프랑스 바라쿠다급 (1) | 2020.08.19 |
전투기 KFX AESA 레이더 TR모듈 개수 모음 (0) | 2020.08.17 |